주 여호와께서는 자기의 비밀을  그 종 선지자들에게
보이시지 아니하시고는  결코 행하심이 없으시리라 (암3:7)

제196차 [2013/9/5 목 (저녁) 하나님이 사랑하시는 증거. (계3:19)]

◎ 하나님이 사랑하시는 증거. (계3:19)

    요21장에서 베드로가 예수님께 사랑하시는 제자가 어떻게 될지를 물어보니 주님이 올 때까지 두고자 할지라도 너와는 상관이 없다고 하셨다.

    이 말씀대로 주후95년경 밧모섬에 유배되어 있는 사도요한에게 주의 날에 주님이 찾아오셨다.
    그 순간 성령의 깊은 감동을 받은 사도요한이 눈이 열려 주의 모습을 보게 되고 귀가 열려 주님의 음성을 듣게 되고 영계가 열려 하나님의 비밀을 요한계시록으로 기록하고 제일 마지막에 가서 “아멘 주 예수여 오시옵소서”하고 고백하였다.



1) 책망을 받아들일 줄 아는 사람.

    다윗 왕은 자신이 좋아하는 여인을 취하는 일이 범죄가 되는줄 깨닫지 못하였으나 나단 선지자의 비유와 책망을 들으면서 바로 하나님의 사람에 책망을 받아들였고 하나님은 다윗 왕이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자라고 하셨다.

    그러나 웃시야 왕은 책망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문둥이가 되었고 성경 가운데 가장 교만한 왕으로 기록되었다.
    대상26장을 보면 16세에 왕이 된 웃시야 왕은 스가랴 선지자를 곁에 두고 늘 말씀 듣기를 즐겨할 때 하나님이 지혜와 은혜를 주셔서 나라를 부강하고 평안하게 하셨다.
    그러나 제사장이 드려야 할 제사를 자신이 드리려고 할 때 아사랴 선지자가 제사장80명을 이끌고 그를 막으려 했지만 도리어 그가 손으로 가리켜 그를 잡으라고 소리쳤고 하나님은 그러한 웃시야 왕의 이마에 문둥병을 주셨다.

    사도 베드로는 이방인들과 식사를 하다가 유대인들이 나타나니 그들과 식사를 안한척 할 때에 바울이 베드로를 책망하였다.
    베드로는 바울이 더 늦게 사도가 되었지만 그의 책망을 받아들였다.

    하나님이 사랑하시기 때문에 그 사람이 바르게 하지 못할 때 책망하시는 것이요, 이 책망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하나님의 사랑을 받아들이는 것이지만 책망을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영원히 기회를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하나님이 사랑하시는 증거를 받기를 원한다면 하나님이 주시는 사랑의 책망을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



2) 징계를 받아들일 줄 아는 사람.

    책망할 때에 돌이켜야지 돌이키지 못하면 하나님이 사랑하시기에 징계까지 주시는 것이다.

    히12:5절 이하에 하나님이 주시는 징계에 관하여 말씀하면서 징계가 없다면 사생자여 참 아들이 아니라고 하였다.
    그러나 징계가 오기 전에 책망을 받아들여야 하고 징계를 받았다면 빨리 정신을 차려야 한다.
    징계를 받고도 돌이키지 못하면 그 때에 오는 것이 사망이다

    요나는 니느웨 성으로 가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라는 말씀을 거역하고 자신이 가진 적은 물질을 의지해 다시스로 도망을 갔다.
    하나님은 그러한 요나를 징계하시기 위해 바다에 던져지고 스올이라는 고기의 뱃속에서 삼일을 지내게 하셨다.



3) 회개하는 사람.

    다윗은 나단 선지자의 책망을 받고 바로 금식하고 옷을 찢으면서 자신이 깔고 앉은 요가 흠뻑 젖고 눈물에 뜰 정도로 울었다고 하였다.
    다윗은 자신이 지은 죄로 인해 징계는 받았지만 그가 회개하고 돌이키므로 하나님은 그의 왕권을 다시 복귀시켜주셨으며 그를 신뢰하는 마음을 버리지 않으셨다.

    히스기야 왕의 회개는 생명을 십오 년 연장하였고
    요나의 회개는 니느웨 성을 살렸고
    베드로의 회개는 한번 설교에 삼천 명, 오천 명씩 살려내는 역사가 일어났다.

    그러나 엘리 제사장은 사무엘을 통하여 자신의 가문이 멸망할 것을 깨달았지만 금식도 회개도 하지 않았다.
    솔로몬 왕은 처음에는 하나님 앞에 제사를 드리며 바른 길을 걸었지만 후에는 여자를 위해 살았고 하나님은 여러 번 그를 깨우쳐주셔도 회개하지 않으므로 헛된 인생이 되었다.

    사람이라 실수와 부족, 허물이 있을 수 있으나 하나님이 책망하실 때, 징계하실 때 회개할 수 있어야 한다.

    계3장에 라오디게아 교회는 게으른 교회요, 차지도 더웁지도 않으므로 책망을 받은 교회다.
    우리가 안일하고 태만하고 게으른 것을 회개하며 잘못 쓴 몸, 잘못 쓴 시간, 잘못 쓴 물질을 회개해야 한다.



4) 열심 내는 사람.

    구약에 엘리야는 기도하는 열심히 있었고
    신약에 사도바울은 전도하는 열심히 있었다.
    계3:19절에서는 열심내야 할 사람이 열심을 내지 않으면 책망과 징계를 주신다고 하였다.



결론 : (계3:21)천년왕국에 왕권을 주신다.

익명투표

총 투표0

기간 2014-05-15 ~ 0000-00-00 00:00:00

투표하기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2792
no. 제목 조회수 작성일
공지

제238차 선지서 및 요한계시록 대성회

27432025년 3월 6일
공지

2025년 3월 전국 요한계시록 세미나 일정 안내

32092025년 3월 2일
2161

제216차 [2015/5/6 수(저녁) 여호와의 신이 하수같이 내리시는 역사. (사59:19-21)]

26772015년 5월 15일
2160

제216차 [2015/5/5 화(저녁) 머리에 부어주시는 여호와의 신. (사11:2-4)]

27132015년 5월 15일
2159

제216차 [2015/5/4 월(저녁) 남종과 여종에게 신을 부어주신다. (욜2:29-30)]

28712015년 5월 15일
2158

제215차 [2015/4/10 금(저녁) 생기받는 종 들림받는다. (계11:7-12)]

21202015년 5월 15일
2157

제215차 [2015/4/9 목 (저녁) 생기받고 하늘에 군대가 되라. (겔37:1-10)]

23152015년 4월 24일
2156

제215차 [2015/4/8 수(저녁) 생기를 받아 하나님의 형상으로 회복받으라. (창2:7, 창1:26-28)]

24602015년 4월 24일
2155

제215차 [2015/4/7 화(저녁) 부활의 기운을 받은 사람들의 축복. (눅24:30-36)]

26362015년 4월 24일
2154

제215차 [2015/4/6 월(저녁)부활의 기운을 받아 살아나게 하자. (요11:39-44)]

23462015년 4월 24일
2153

제214차 [2015/3/6 금(철야) 학자의 혀, 학자의 귀를 받은 종의 길. (사50:4-5)]

26382015년 4월 24일
2152

제214차 [2015/3/6 금(저녁) 학자의 혀, 학자의 귀를 받은 종 새 힘 받아 달려가자. (사40:27-29)]

26312015년 4월 24일
2151

제214차 [2015/3/5 목(저녁) 학자의 혀, 학자의 귀를 받은 종 끝까지 가라. (마24:13)]

24992015년 4월 24일
2150

제214차 [2015/3/4 수(저녁) 학자의 혀, 학자의 귀를 받은 종 많은 사람을 살려내라. (단12:1-3)]

25922015년 4월 24일
2149

제214차 [2015/3/2 월(저녁) 학자의 혀, 학자의 귀를 받은 종이 되라. (사50:4-5)]

32602015년 3월 5일
2148

제213차 [2015/2/6 금(철야) 새로운 회복을 받을 때다. (사1:25-26)]

25462015년 3월 5일
2147

제213차 [2015/2/6 금(저녁) 세마포 예복을 입고 복음의 신을 신고 나서라. (계19:6-8, 엡6:15)]

30622015년 3월 5일
2146

제213차 [2015/2/5 목(저녁) 더러운 옷을 벗고 아름다운 옷을 입고 나서라. (슥3:1-5)]

32192015년 3월 5일
2145

제213차 [2015/2/4 수(저녁) 이사야같이 옷을 벗고 발을 벗고 나서라. (사20:2-3)]

34222015년 3월 5일
2144

제213차 [2015/2/3 화(저녁) 여호수아 같이 신을 벗고 나서라. (수5:13-15)]

32672015년 3월 5일
2143

제213차 [2015/2/2 월(저녁) 모세같이 신을 벗고 나서라. (출3:1-5)]

31772015년 3월 5일
2142

2015년 송구영신 예배 [회개하는 역사 속에 새 출발하자. (사43:18-21)]

135902015년 1월 23일

대한예수교 장로회 예루살렘교회   경기도 여주시 매룡2길 9-66  문의 : 010-4743-1440   담임목사:문제선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